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od Organizer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모드 설치 === 이제 모드를 설치하면 된다. 이 부분에서 베데스다 게임의 기본 파일 구조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스카이림이나 폴아웃을 처음 설치한 상태면 게임 설치 폴더 아래에 Data 폴더가 있고, 그 아래에 esm, esp, bsa, ba2 확장자를 가진 파일들이 들어있다. esm(Elder Scrolls Plugin Master의 약자)과 esp(Elder Scrolls Plugin의 약자)는 설정 정보 저장 파일 포멧(Mod File Format), 쉽게 말하면 프로필 파일들이다.([[http://elderscrolls.wikia.com/wiki/ESP_file_format|#]]) 이 파일들 안에는 몬스터 레벨 수치, 갑옷 방어력, 무기 공격력 등 자잘한 레코드 테이블 값들이 들어있다.([[http://en.uesp.net/wiki/Tes5Mod:Mod_File_Format|#]]) 보통 모드들 중에 몬스터들을 세게, 약하게 만든다던지 상인 npc들의 소지금을 늘린다던지 하는 모드들은 다 이 esp 파일 값들을 변경하는 것들이다. bsa(Bethesda Softworks Archive), ba2(Bethesda Softworks Archive 2)의 경우는 데이터 파일들을 압축해 놓은 것으로, 그 안에 메쉬,[* 3차원 뼈대 파일] 텍스쳐, 사운드 등의 파일들이 각 폴더별로 들어 있다. 간단한 리텍스쳐 모드들은 이 bsa 압축 파일 안의 경로 그대로 폴더 트리를 만들고, 똑같은 경로에 있는 파일들을 다른 파일로 바꾼 뒤 재압축한 것이다. 우리가 보통 모드를 설치한다 하면 esp 파일이나 mesh, texture, sound, interface, script 폴더 등을 Data 폴더에 집어넣는 행위를 말한다. 모드 오거나이저도 기본은 같다. 모드 오거나이저가 하는 일은 이 Data 폴더를 가상으로 만들어서 파일들을 정렬한 뒤 게임에 가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때문에 skse나 enb 같은 기반 모드들은 모드 오거나이저가 관리하거나 설치하지 못한다. 이런 파일들은 Data 폴더가 아니라 그 상위 폴더인 Skyrim 또는 Fallout 4 폴더에 파일을 풀어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모드들은 어쩔 수 없이 사용자가 직접 스카이림 설치 폴더에 넣어줘야 한다. 참고로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모드들은 그 게임의 폴더 트리 구조에 맞게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그 게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이미 다운받아놨던 스카이림 모드를 바로 폴아웃 3 모드 폴더에 깐다고 설치가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모드를 수정해서 그 게임용으로 바꾸지 않는 한, 스카이림 모드 스카이림용으로 제작된 모드만 써야 하고, 폴아웃 3 모드면 폴아웃 3 용으로 제작된 모드만 써야 한다. 모드 오거나이저에서 수동으로 모드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넥서스 연동 설치의 경우 3번부터 하면 된다. * 0. 모드 압축파일을 다운받아 원하는 폴더에 넣어둔다. * 1. 모드 오거나이저 왼쪽의 넓은 공간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해 메뉴를 띄운다. '모든 모드'에 마우스를 가져간 뒤 '새모드 설치하기'를 클릭한다. 왼쪽 상단의 아이콘 중 두번째 아이콘을 클릭해도 된다. * 2. 모드 압축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찾아 경로를 입력한 뒤 확인을 누른다. 모드 이름을 입력하는 작은 창이 뜨면 구분하기 쉽게 모드 이름을 입력한 뒤 다시 확인을 누른다.[* 보통 앞에 번호나 식별태그를 붙여 입력하는게 좋다. 언오피셜 패치를 설치한다면 '01 bug patch Unofficial Skyrim Legendary Edition Patch' 같은 식으로 이름을 입력하고 설치한다. 그럼 모드 오거나이저가 자동으로 모드 오거나이저 설치 폴더 아래의 mods 폴더에 입력한 모드 이름대로 폴더를 만들고 파일들을 집어넣게 된다.] * 3. 보통 모드 오거나이저가 자동으로 설치를 해주지만 간혹가다 모드 압축 파일 내 폴더 구조를 파악하지 못해 설치를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No game data on top level'이란 빨간색 경고문구가 포함된 창이 뜨는데, 사용자가 직접 폴더 트리를 설정해주어야 한다. 설정 방법은 폴더에 마우스 우클릭을 해서 set data directory를 클릭해주면 된다. 이 경고 문구가 떴다면 압축 파일 안에 esp 파일이나 mesh, texture, sound 폴더가 없거나 위치가 이상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고창의 폴더들을 뒤져서 esp 파일이 나올때까지, mesh, texture, sound 폴더가 나올때까지 들어간 뒤 'No game data on top level'이란 경고 문구가 'Looks good'이란 녹색 문구로 바뀌면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 폴더를 찾아보자. * 4 압축이 다 풀렸다면 왼쪽 화면 공간에 설치된 모드들 이름이 나열될 것이다. 이 모드 데이터 목록을 드래그 해서 우선순서를 결정해줄 수 있다. 아래 쪽에 놓은 모드들이 위의 모드들을 덮어씌우게 된다. 예를 들어 원래 기본 스카이림 가죽옷 텍스쳐 색은 갈색인데 이를 빨간색으로 바꿔주는 모드와 파란색으로 바꿔주는 모드를 동시에 설치했다면, 아래에 놓은 파일의 색이 게임에 적용된다. 모드 정렬 순서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으나 보통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모드]]에 나열된 순서대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기본적으로 위에 놓는 모드들을 먼저 불러오고 아래에 놓는 모드들을 나중에 불러와 위의 모드들을 덮어버리는 식으로 가상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거운 모드나 기반 모드는 위에, 가벼운 모드나 단순한 리텍스쳐 모드는 중간에, 버그픽스 모드처럼 변경되면 안 되는 중요 모드는 제일 밑에 놓는 것이 일반적이다. * 5. esp 파일이 포함된 모드를 설치했다면, 이제 모드 오거나이저 오른쪽 창에 그 esp 파일들 목록이 보일 것이다. 이것도 모드 데이터처럼 배열을 해주어야 한다. 되도록이면 왼쪽과 오른쪽의 배열은 비슷하게 맞추는 것이 좋고, 모드 오거아니저의 경우 Loot 정렬 기능이 기본 포함되어 있는데, 웬만하면 수동으로 맞춰주는 게 좋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